캐릭터 상품 구매 경험
최근 1년간 캐릭터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85.1%로 나타났으며. 2019년 이후 계속해서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3~9세에서 캐릭터 상품 구매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 특성별 캐릭터 상품 구매 경험
구매한 캐릭터 상품군은 ‘인형, 로봇 등 완구’가 60.2%로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 ‘문구/팬시(51.4%)’, ‘패션의류/잡화(31.5%)’, ‘식품/음료/의약외품(24.2%)’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패션의류/잡화(31.5%)’와 ‘식품/음료/의약외품(24.2%)’의 전년 대비 증가폭이 다른 상품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습니다.
캐릭터 상품군별 세부 구매 형태
- 인형, 로봇 등 완구
인형, 로봇 등 완구 캐릭터 상품의 구매 비율은 2019년 이후 계속해서 ‘카카오프렌즈(23.0%)’가 1위, ‘뽀롱뽀롱 뽀로로(12.8%)’가 2위로 나타났으며, ‘겨울왕국(4.1%)’은 9위로 하락했습니다. 인형, 로봇 등 완구 캐릭터 상품은 ‘대형마트(23.6%)’와 ‘인터넷 쇼핑몰(23.0%)’에서 구매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캐릭터 전문 스토어(18.1%)’, ‘완구 할인점(10.9%)’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패션의류/잡화
패션의류/잡화 캐릭터 상품은 2019년 이후 계속해서 ‘카카오프렌즈(21.4%)’를 구입한 비율이 1위로 나타났으며, ‘펭수(6.9%)’는 5위로 하락, ‘DC 히어로’(3.1%)는 10위 안에 진입했습니다. 패션의류/잡화 캐릭터 상품은 ‘인터넷 쇼핑몰(31.7%)’에서 구매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는 ‘대형마트(20.9%)’, ‘캐릭터 전문 스토어(16.3%)’, ‘백화점(8.9%)’, ‘캐릭터 전문 온라인몰(8.5%)’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식품/음료/의약외품
식품/음료/의약외품 캐릭터 상품은 2019년 이후 계속 ‘뽀롱뽀롱 뽀로로(26.6%)’ 상품을 구매한 비율이 1위, ‘카카오프렌즈(25.8%)’가 2위로 나타났으며, ‘미니언즈(3.0%)’와 ‘미키/미니 마우스(2.6%)’가 10위 안에 진입했다. 식품/음료/의약외품 캐릭터 상품은 ‘대형마트(48.0%)’에서 구매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 ‘편의점(19.0%)’, ‘인터넷 쇼핑몰(13.2%)’, ‘캐릭터 전문 스토어(4.2%)’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키덜트/취미 제품
키덜트/취미 제품 캐릭터 상품은 2019년 이후 계속해서 ‘마블(17.9%)’ 상품을 구입한 비율이 1위로 나타났으며, ‘뽀롱뽀롱 뽀로로(8.4%)’와 ‘키티(헬로키티)(4.2%)’가 10위 안에 진입했습니다. 키덜트/취미 제품 캐릭터 상품은 ‘인터넷 쇼핑몰(28.6%)’에서 구매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캐릭터 전문 스토어(25.8%)’, ‘대형마트(14.5%)’, ‘완구 할인점(7.8%)’, ‘캐릭터 전문 온라인몰(7.6%)’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글은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 캐릭터 산업백서]를 활용하였습니다.
'상상발전소 > 콘텐츠이슈&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코딩 음악 시장 : 글로벌 실물 음반 시장의 20년 만의 반등 (0) | 2023.02.02 |
---|---|
TV 모니터 애니메이션 이용 현황 (0) | 2023.01.19 |
온라인동영상제공 서비스(OTT) 콘텐츠 이용 행태 (0) | 2023.01.12 |
방송영상산업 노동 환경 (1) | 2022.12.29 |
점점 진화하는 부캐 (0) | 2022.12.22 |
작업 유형별 리얼타임 엔진 적용 방법 (1) | 2022.12.15 |
2020년 미국 음악 산업동향 (0) | 2022.12.08 |
2020년 인도 캐릭터 산업동향 (0) | 2022.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