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상발전소3538

초실감시대, 정보통신기술과 접목해 진화하는 방송 제작·유통 기술 평창올림픽으로 시작한 2018년은 남북 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 전국 동시 지방선거, 아시안게임 등 한국사회를 뒤흔든 굵직굵직한 사건이 많은 해였습니다. 방송 제작과 유통 기술 면에서도 이러한 거대담론의 사회상을 반영하듯 다양하고 복잡한 사건이 많았는데, 2018년 한국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및 유통 기술 관련 핵심 키워드를 정리하면, 5G, 실감콘텐츠, 그리고 UHD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의 5G 네트워크 기반 영상 서비스 올림픽, 월드컵 등 글로벌 스포츠 경연장은 동시에 기술의 전시장입니다. 2018년 2월에 열렸던 평창 올림픽 역시 선수들은 개인과 조국의 명예를 위해 자신의 기량을 뽐냈습니다. 이와 동시에 개최국인 한국은 다양한 ICT 기술을 선보이며 전세계에 첨단 IC.. 2020. 10. 21.
K-pop, 그리고 팬덤: 성장과 진화 2017년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American Music Awards)는 방탄소년단이 시상식 무대에서 퍼포먼스를 한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문구는 “ARMY, IT’S HAPPENING”이었습니다. 간단한 이 한 줄은 방탄소년단의 팬덤 ‘아미’를 아티스트의 소식을 전하는 대상으로 직접 호출했다는 데에 특이점이 있었습니다. 2017년 빌보드 뮤직 어워즈(Billboard Music Awards)의 ‘톱 소셜 아티스트(Top Social Artist)’ 수상을 시작으로 본격화한 방탄소년단의 북미 흥행에서 아미의 이름은 늘 함께 불렸습니다. K-Pop을 향한, 특히 북미시장에서의 관심은 팬덤에 대한 호기심을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K-Pop 콘텐츠를 팬덤 활동까지 포함한 일종의 ‘종합 패키지’로 받아.. 2020. 10. 14.
웹툰산업의 확장 및 창작 다각화! 웹툰 오픈마켓 및 크라우드펀딩 웹툰산업의 확장 및 창작 다각화 웹툰산업은 IP비즈니스로 확장하며 상업적 성공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플랫폼은 보다 대중적이고, IP 확장 가능성이 높은 작품들을 선택하게 됩니다. 산업이 세분화되면서 IP 확장 가능성을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은 IP 확장을 기준으로 서비스들을 분류한 것입니다. 현재 가장 주목받는 시장은 Tier 1과 2에 해당하는 ‘웹툰 플랫폼’입니다. IP 확장을 염두에 두고 영상물 제작 업체를 소유하거나 자회사로 둔 네이버웹툰과 카카오페이지가 Tier 1에 해당합니다. 이 회사들은 자체 IP를 활용해 영상물 등으로의 확장이 가능합니다. Tier 2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전문 유료 웹툰 플랫폼은 직접 영상 제작사를 .. 2020. 10. 7.
캐릭터 상품시장의 변화 온라인·모바일 시장의 성장 소매·유통 시장이 지속적으로 온라인·모바일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2018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 대비 22.6% 증가한 111조 8,939억 원으로 처음으로 100조 원대를 넘겼습니다. 이 중 모바일 쇼핑 거래액이 68조 8,706억 원으로 전체 거래액의 61.5%를 차지합니다. 캐릭터 상품시장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시장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캐릭터 상품시장에는 이전과 비교되는 많은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소매·유통 경로의 전문화와 다양화 캐릭터 소매·유통 경로가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첫 번째 특징으로는 전문 몰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들 수 있습니다. 이는 온라인 쇼핑몰업계의 전체적인 트렌드입니다. 온라인 쇼핑몰은 취급.. 2020. 9. 23.
5G 시대의 애니메이션 산업 5G와 애니메이션 2019년 4월 세계 최초 상용화 이후, 5G가 완전히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을 만들고 이를 통해 거의 모든 분야에서 혁신적 변화를 이끌 것이라는 기대감이 국내외에서 일고 있습니다. 지난 몇 년간 4차 산업혁명으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과 같은 기술혁신에 익숙해져 있던 우리에게 5G는 과연 어떤 의미일까요? 5G시대가 본격화되면 콘텐츠 환경은 어떻게 바뀔 것이며 애니메이션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5G는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의미하지만 단순히 통신 기술이나 기간산업의 의미를 넘어 산업 생태계, 비즈니스 모델, 서비스 제공방식 등을 획기적으로 바꿀 새로운 차세대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5G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이자 사회적 변혁을 이끌어갈 기반 기술의 역할을 수행할 전망입니.. 2020. 9. 16.
방송제작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움직임 방송제작 노동환경 개선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확산 안전한 제작 노동환경, 제작인력의 인권 보호는 품질 높은 콘텐츠 제작의 기반이 됩니다. 제작환경의 개선과 제작인력의 인권강화는 방송영상 제작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상생환경 조성을 위해 선결되어야 할 과제입니다. 하지만 2017년 7월 박환성・김광일 독립PD 사망 사건으로 쟁점화되었던 열악한 방송프로그램 제작환경, 그에 따른 일련의 사건은 2018년에도 반복되어 나타났습니다. 고용노동부는 2018년 3월부터 8월까지 3개 드라마 제작현장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하였습니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이 인정되는 스태프임에도 근로계약을 체결하지 못한 경우, 연장근로 제한 위반, 최저임금 미지급, 서면 근로계약 미작성 등 다수의 근로기준법 위반 사항이 확인되.. 2020.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