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발전소3538 캐릭터와 기술의 조우 :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캐릭터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모티콘 개인화 그동안 대부분의 이모티콘은 개별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이나 앱, 스마트 기기 등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것들이었습니다. 사용할 때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대화에 흥미와 재미를 더한다는 장점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이용자 개개인의 특징을 살리기엔 부족한 감이 있었습니다. 이에 여러 소셜 앱들이 기계학습, 심층신경망, 안면인식 등의 AI 기술을 통해, 이용자로 하여금 각자 개성에 맞는 이모티콘을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나(me)와 이모티콘(emoticon)의 합성어인 ‘미모티콘(MEmoticon)’이 대표사례입니다. 애플 iOS13부터 지원하는 미모티콘의 경우, 카메라를 통해 이용자 자신을 닮은 미모티콘을 꾸며 메시지 앱, 메일, 서드파티 앱 등에서 사용할 수 있.. 2020. 12. 30. 세계 방송영상산업의 현황과 전망 2018년부터 2019년에 걸쳐 세계 방송영상 시장 규모 측면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것은 여전히 전통적인 수신료 부문, 그 가운데에서도 유료방송 가입료 시장입니다.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광고매출 부문으로 TV 방송 광고가 가장 큰 비중을 점합니다. OTT 동영상 매출이 그 뒤를 따르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 양대 부문에 비해 비중이 그리 높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OTT 동영상 매출이 2018년을 지나면서 공영방송 수신료 규모를 넘어서고 있다는 것은 의미심장합니다. 가장 미약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홈비디어 부문으로 2014년에는 공영방송 수신료와 비슷한 수준에 있었지만 2019년에는 절반 수준으로 대폭 축소되었습니다. 성장 추세는 앞에서 언급한 순서의 거의 정반대입니다.. 2020. 12. 23. 음악산업의 투명성 제고 노력 2018년과 2019년은 유독 음악산업의 투명성과 공정성에 대한 논란과 이슈가 많이 발생한 발생했습니다. 정부는 음악서비스 사업자들이 2018년 기준 약 3,775억 원 규모(추정액)의 미분배수입을 수령한 사실을 확인하고, 음악산업발전위원회의 연구용역을 통해 음원시장이 변화하는 상황을 파악 중입니다. 미분배수입 문제를 바로잡기 위한 방안으로 지난 2018년 6월,저작권 사용료 징수규정을 개정하기도 했습니다. 시장점유율 1위 서비스인 멜론은 과거 저작권료를 불법적으로 편취한 정황으로 인해 형사 수사를 진행했습니다. 이 외에도 일부 뮤지션과 소속사가 주요 음악서비스의 차트를 대상으로 ‘음원사재기’를 행해 부당한 이득을 취했다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었습니다. 한편 음악산업과 밀접한 관계인 방송 사업자가 방송 .. 2020. 12. 2. 양대 웹툰 플랫폼의 시장 고착화와 웹툰산업 생태계 변화 네이버와 카카오(다음) 현황 인터넷 미디어 리서치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닐슨코리안클릭은 매월 국내 PC 웹사이트 순위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순위를 발표합니다. 자사 서비스 이용패널을 표본으로 국내 인터넷 사용 행태에 대한 통계적 추정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이 자료에 의하면 2019년 11월 현재 국내 최고 방문자를 기록한 PC 웹사이트는 네이버(naver.com)였습니다. 월간 순방문자 26,832,315명으로 88%의 도달률을 보였습니다. 2위는 다음(daum.net)으로 19,355,840명(도달률 63.5%)이었습니다. 유튜브와 구글은 각각 3위, 4위였습니다. 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는 카카오톡이 월간 순이용자 39,165,091명(도달률 97.2%)으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2020. 11. 11. 캐릭터 산업의 합종연횡 플랫폼 기업과 콘텐츠 기업의 협력 신뢰할 수 있는 캐릭터 브랜드를 구축하고 IP사업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소구력이 강한 캐릭터를 통해 소비자들과 지속적으로 접촉해야 합니다. 이는 큰 틀에서 좋은 콘텐츠를 만들고 좋은 플랫폼을 활용하는 문제와 다르지 않습니다. 캐릭터산업에 영향을 미친 콘텐츠 기업과 플랫폼 기업의 제휴・협력과 인수합병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CJ ENM + 부즈(뿌까) 2018년 1월 CJ 그룹은 미디어 계열사인 CJ E&M과 홈쇼핑 제작 및 방송사인 CJ오쇼핑의 합병을 발표했습니다. 2018년 7월에는 새로운 합병 법인인 CJ ENM이 출범했습니다. ENM은 ‘Entertainment and Merchandising’의 약자입니다. 이를 통해 CJ ENM은 세계적인 융・복합 콘텐츠 커머스.. 2020. 11. 4. 새로운 애니메이션 포맷의 활성화 숏폼 형태의 애니메이션 콘텐츠 10분 이내 짧은 영상을 뜻하는 디지털 숏폼(Short Form) 콘텐츠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국제뉴스미디어협회(INMA)는 디지털 숏폼 콘텐츠를 10분 이내 짧은 영상 콘텐츠로 정의했으나, 일반적으로 영상의 절대적 길이로 디지털 숏폼 콘텐츠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또한 전통 미디어에서 방영하기보다는 인터넷으로 동영상을 볼 수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 특히,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에서 소비하는 게 목적입니다. 그러나 최근에 기존 방송국도 디지털 숏폼 콘텐츠를 제작하여 OTT 플랫폼에 유통시키면서 미디어에 따른 구분은 모호해졌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숏폼 콘텐츠의 정의는 단순히 러닝타임에 집중하기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콘텐츠 소비 패턴 변화로 가능해진 짧은 시간에 소구할.. 2020. 10. 28.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5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