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상발전소3538

실감형 음악 서비스 : 5G 시대와 음악 산업의 성장 5G 시대와 실감형 콘텐츠 VR, AR 콘텐츠는 물론 여러 화면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멀티뷰 서비스 역시 기존 영상 대비 훨씬 많은 데이터 전송량과 빠른 응답속도를 요구합니다. VR을 예로 들면 QHD (2560*1440)의 해상도를 지원하고 시야각이 110도인 HMD의 경우 360도 영상이 되려면 QHD의 3.27배 해상도인 8K() 콘텐츠가 필요합니다. QHD 화질로 360도 영상을 즐기려면 8K로 촬영이 이루어지고 이를 스트리밍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5G에서는 최대 전송 속도가 LTE 대비 20배, 응답 속도는 10분의 1 수준이기 때문에 4G에서는 원활히 서비스되기 어려운 대용량의 실감형 콘텐츠를 즐기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해졌습니다. 5G 시대에 실감형 콘텐츠가 주목받는 이유입니다. 그.. 2021. 2. 3.
신기술의 도입 음악산업의 변화 : 공연 환경에서 실감형 기술의 활용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을 포함하는 확장현실(XR), 홀로그램, 인공 지능(AI) 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그 실용적인 적용이 점차 확대되며 대중과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특히 VR/AR 기술은 최근 몇 년간 이머징 기술로 여겨져 왔지만, 가트너 (Gartner)의 에서는 VR/AR 항목이 제외되며 성숙한 기술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또한 5G의 상용화가 이루어지면서 음악산업에서도 적극적으로 실감형 콘텐츠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움직임들이 나타나는 가운데, 또 다른 4차 산업 핵심기술인 AI도 음악산업에서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VR, AR, MR 그리고 XR 용어 및 개념 가상현실(VR)은 사용자가 가상의 세계에서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 2021. 1. 27.
실감콘텐츠 기술 기반 캐릭터 5G 보급과 함께 VR, AR, 홀로그램 등 실감 콘텐츠 기술이 주목을 받으면서 해당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과는 다른 캐릭터 경험을 제공하거나, 기존 캐릭터들을 실감 콘텐츠로 구현하 여 새로운 방식으로 이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형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AR 기술을 통해 캐릭터를 구현하는 콘텐츠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다양한 사례를 짚어보면서 캐릭터가 실감 콘텐츠에서 어떤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브이튜버(Vtuber) 동향 ‘브이튜버(Vtuber)’는 유튜버로 활동하는 가상의 캐릭터를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일본의 키즈나 아이(Kizuna Ai)를 시작으로 한국에서도 다양한 브이튜버들이 등장하여 활동하고 있는데, 춤과 노래, 게임, ASMR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 2021. 1. 20.
변치 않는 콘텐츠의 가치를 위해, 한국콘텐츠진흥원이 함께 하겠습니다! 여러분에게 콘텐츠는 어떤 의미를 지니나요? 👀 콘텐츠는 과거에도, 현재에도 함께 하는 즐거움을 알게 하고, 때로는 놀라움이 되기도 하며 늘 우리의 일상을 풍요롭게 하고 있는데요. 공간은 무한해지고, 환호는 높아지고, 무대가 더 넓어져도 콘텐츠의 가치는 변치 않도록 시간을 넘어, 시대를 이어 #한국콘텐츠진흥원 이 함께 하겠습니다!💪💜 ▶ 한국콘텐츠진흥원 브랜드 홍보영상 보러가기 : youtu.be/HCBJf4jBGt0 2021. 1. 18.
국내 e스포츠 주요 동향 및 이슈 e스포츠 선수 표준계약서 e스포츠분야 표준계약서는 2019년 10월 이동섭 전 국회의원이 e스포츠 선수와 구단 간 의 계약 시 문화체육관광부가 마련한 표준계약서로 계약을 맺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e스포 츠진흥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면서 도입되었습니다.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에 대한 부당 계약을 강요한 일명 ‘카나비 사건’을 계기로 e스포츠 선수들에 대한 처우 문제가 대두되면서, 표준계약서 제도 도입에 대한 논의가 급물살을 탔습니다. 2019년 12월에는 한국e스포츠협회가 작성해 프로게임단에 제공하는 표준계약서에 불공정 조항이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사전 동의 없이 선수를 마음대로 이적시킬 수 있는 조항, 이적 후 새로운 팀과의 재계약 금지 조항, 상금 수령 조항, 초상.. 2021. 1. 14.
미국의 만화산업 규모와 동향 미국 만화산업의 시장규모와 성장률 미국 만화시장은 전년 대비 8.0% 증가한 10억 4,800만 달러로 추정됩니다. 미국의 코믹스 만화는 일본 만화와 함께 전 세계 만화시장을 양분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미국 코믹스의 양대 산맥인 마블 코믹스(Marvel Comics)와 DC 코믹스(DC Comics)의 슈퍼 히어로 장르 만화들이 영화로 제작되어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미국 만화 소비시장 또한 미국 코믹스가 마니아층의 전유물이 될 것이라는 우려와 다르게, 영화의 성공으로 인해 기존 마니아층뿐 아니라 일반 대중들 또한 만화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만화들이 성인 독자들의 취향에 맞추어져 있는 기존의 미국 코믹스를 뛰어넘는 성장세 를 보여주었던 점이 2018년 반등의 주요 요.. 2021.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