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상발전소/KOCCA 행사

[문화원형스토리] 타임머신 타고 온 100년 전 Summer Fashion!

by KOCCA 2013. 7. 22.

▲ 사진 1. 한국의 전통복식에서도 현대적 감각을 엿볼 수 있다.

 

사극 드라마를 볼 때면 "삼복 더위에도 치렁 치렁 치마, 도포... 선조들은 체면 때문에 참 불편했겠다"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우리 고유 복식에도 현대의 민소매, 핫팬츠처럼 여름 전용 패션 아이템이 분명 존재했었답니다. 게다가 현대 스타일에도 뒤지지 않는 ‘아방가르드’하고, ‘모던’한 하이패션감각도 엿보이는데요. 국내외 유명 디자이너들이 한국의 전통 복식에서 모티브를 얻은 작품들을 많이 선보이고 있는 것도 우연이 아닌 듯 합니다. 오늘은 선조들의 핫 서머 패션 스타일의 세계를 소개합니다.

 

 

◎ 실용성 + 패션감각 = Summer Hat!
 

 ▲ 사진 2. 왼쪽부터 조선시대 남자 갈모, 남아 지삿갓, 여자 차양모, 부녀용 삿갓

 

강렬한 태양빛을 가리거나 비를 피하기 위한 패션 아이템으로 우리 조상들은 우산보다는 모자를 더 선호한 듯 합니다. 그래서인지 모자의 챙이 현대의 그것보다 훨씬 넓지만 야외활동을 하기에 거추장스러워 보이지는 않습니다. 남녀노소 계층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Hat’스타일을 연출했는데요. 비가 스며들지 않도록 종이에 기름을 먹인 <지삿갓>과 챙이 넓은 여성의 <차양모> 등은 실용성 뿐아니라 패션감각도 엿보입니다.

 

 

◎ 보기와 다르게 Cool! 센스와 시원함을 겸비한 남성의류
  


▲ 사진 3. 왼쪽부터 조선시대 남성 의류. 2번의 비 가리개와 3번 갈옷의 컬러가 이색적이다.

 

들판에서 농사일을 하거나 행상을 하는 등 조상들의 야외 활동은 현대인보다 비중이 컸는데요. 그래서인지 여름 의류는 마, 모시, 베 등 통기성 높은 소재가 인기 있었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백의 민족’이라도 화이트만 고집하진 않은 모양입니다. 바이올렛, 베이지, 오렌지 등 오늘날 볼 수 있는 ‘비비드’한 컬러가 예전에도 존재했고, 조상들이 즐겨 사용했다는 사실이 이색적입니다.

 

 

◎ 점프수트와 시스루룩은 100년 전부터 트렌드?
 


▲ 사진 4. 조선시대 여성 의류. 1번은 제주 해녀 의상의 원형으로 점프수트를, 2번은 레인패션으로 베기팬츠를, 3번은 모시 소재로 시스루룩을 연상시킨다. 4번은 위 남성의류와 커플룩으로 여성용 갈옷이며 바지가 이색적이다.

 

조선시대 여성의류는 놀랍게도 현대 패션 트렌드를 연상시키는 요소가 많습니다. 제주 해녀 의상의 원형은 점프수트, 모시 치마, 저고리는 시스루룩과 매우 많이 닮아 있습니다. ‘衣’는 근본적으로 실용과 아름다움의 조화이므로 현대 디자이너들의 작품과 맥이 닿아 있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사실인 듯 합니다. 생활을 편리하게, 또 아름답게 연출하려는 조상들의 지혜가 엿보입니다.

 

 

◎ 샌들? 웨지힐? 현대 슈즈패션과 놀랍게 닮았다!

 


▲ 사진 5. 왼쪽부터 조선시대 황후의 예복용 신발, 나막신

현대의 화려한 실크샌들과 웨지힐을 연상시킨다.

 

2013년 거리를 수놓은 슈즈패션의 핫 트렌드는 뭐니 뭐니 해도 스트랩샌들과 웨지힐이죠. 현대 여성들의 스트랩 플랫 샌들을 닮은 황후의 예복용 신발은 딥블루 컬러의 실크재질로 고급스러움이 가득한 귀족 여성들의 잇 아이템인 듯 합니다. 여름용 나막신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애용한 아이템으로 내추럴함과 실용성으로 오히려 현대인의 눈에는 모던한 패션감각이 엿보입니다.

어느날 어머니의 케케묵은 옷장을 열었다가 푸른색 도트무늬 원피스(‘땡땡이’라고 하죠^^)를 발견하고 ‘어? 옷 사셨나?’했던 적이 있습니다. 어머니의 처녀시절을 함께 한 그 원피스는 한 시대를 거쳐 다시 그 딸에게 잇 아이템으로 돌아온 거죠. 문화는 모방과 창조를 거쳐 우리의 삶을 의미있게 가꿔주는 양식입니다. 우리 조상의 복식문화가 새로운 디자인을 탄생시키는 불씨가 되길 바랍니다!

 

<30만 건의 문화원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문화콘텐츠닷컴 www.culturecontent.com
선조들의 여름패션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이 기사는 2002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의 <한국의 고유복식>프로젝트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l http://2url.kr/xae

◎ 사진출처
- 모든 사진은 문화콘텐츠닷컴 <한국의 고유복식>에서 사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