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발전소/문화기술349 한류 코스메틱시장의 성장! K뷰티·메이크업 인기요소는 무엇일까? 얼마 전, 미국 뿐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이름이 잘 알려진 ‘킴 카다시안’의 메이크업이 화제였습니다. 킴 카다시안 그녀의 메이크업은 주로 얼굴의 음영을 강조하는 ‘컨투어링’이었는데요. 어느 날, 그녀가 이러한 컨투어링 메이크업 대신 깨끗한 피부표현과 가벼운 메이크업을 시도해,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이렇게 기존 미국에서 인기를 누리고 있는 컨투어링 메이크업과 반대되는 것이 ‘스트로빙’메이크업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스트로빙 메이크업은 간단히 말해, 피부 화장에서 제품의 수를 최대한 줄이고 얼굴의 빛을 받는 부분만 강조하는 것입니다. 여성분들이라면 충분히 공감하실 텐데요. ▲ 사진 1 우리나라여성에게 익숙한 화장법인 스트로빙 메이크업 최근 정부가 화장품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육성법을 제정했다고 합니다... 2015. 11. 2. 가까운 미래에는 무슨 일이?, 스타트업 산업 키워드 BEST4 최근 몇 년간 본인의 생활이 무언가에 의해 눈에 띄게 달라졌다는 것을 느낀 적이 있으신가요? 저는 스마트폰을 꼽고 싶은데요. 얼마 되지 않았지만 스마트폰이 우리 곁으로 다가오기 전과 후의 생활은 정말 다르지요. 스마트폰이 있기 전, 인터넷 검색을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찾아 켜야 했고, 모르는 영단어를 찾기 위해서는 따로 사전을 들고 다녀야 했습니다. 어떤가요, 새로운 산업의 한 영역의 발달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실로 어마어마하지 않나요? 이와 관련하여 ‘스타트업 산업’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스타트업 기업‘이란 신생벤처기업을 뜻하는 말로,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생겨난 용어인데요.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지요. 스타트업 기업은 주로 앞으로의 성장가능성을 지닌 .. 2015. 10. 15.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의 역사를 써나간다,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여러분 안녕하세요! 한국콘텐츠진흥원 상상발전소 블로그 기자단의 허서원 기자입니다! 타 분야와 차별화되는 콘텐츠 산업만의 특징이 있다면, 콘텐츠는 그 시작부터 끝까지 ‘사람’의 손을 거치는, 사람을 중심에 두는 인본적인 산업이라는 데 있다고 할 수 있지요. 특히나 최근 한류의 바람이 거세게 불면서 대한민국 콘텐츠 창작자들의 위상은 매년 더더욱 높아져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시류 속에서 대한민국의 대중문화예술을 드높이는 예술인들을 위해 2010년부터 시작된 시상식이 있습니다. 바로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이 그 주인공인데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고, 대중문화예술인 지원센터가 운영하는 이 시상식은 올해 5년차에 접어들어 국내 대중문화예술인들에게 크나큰 영광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은 .. 2015. 10. 8. 단돈 천원으로 후원을 할 수 있다고? 크라우드 펀딩 십시일반, 티끌 모아 태산! 단지 사자성어와 속담에 불과한 말일까요? 아닙니다. 돈이 없어 실현시키지 못했던 아이디어를 실제로 구현할 때에도 이러한 ‘티끌 모아 태산’을 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바로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입니다. 크라우드 펀딩은 많은 이들이 조금씩 돈을 모아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수 있게 하며, 이는 영화, 음악, 만화 등 콘텐츠 산업에도 적용되어 새바람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고, 국내 콘텐츠산업과 관련한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등을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 사진 1.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와디즈’ 크라우드 펀딩이란 ‘군중(crowd)’와 ‘자금을 모으는 것(funding)’의 합성어로, 인터넷, SNS 등의 매체를 통해서 다수에.. 2015. 10. 7. 실제보다 더 실제같은! ‘가상현실’을 활용한 콘텐츠 현 시점에서 IT 트렌드를 언급할 때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빼놓을 수 없는 분야입니다. ‘가상현실’은 “기술로 만들어낸 현실과 유사하지만 실재하지는 않는 가상의 상황이나 환경 혹은 기술 그 자체”를 의미합니다. 실제로 ‘삼성(Samsung)’, ‘구글(Google)’, ‘페이스북(Facebook)’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가상현실’ 관련 기술에 관심을 보이며 투자하고 있습니다. ‘삼성’의 ‘Gear VR’, ‘구글’의 ‘구글 카드보드’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는데요. ‘가상현실’ 관련 기술은 곧 상용화를 앞둘 정도로 발달하였다고 합니다. 이에 비해 ‘가상현실’을 활용한 콘텐츠는 아직 여러 시도 중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은 무엇보다도 현실에 존재하지 않.. 2015. 9. 22. 우리지역에는 어떤 이야기가? 지역 설화를 기반으로 한 공연들! “옛날, 아주 옛날에 말이야…” 우리 모두에게 익숙한 문장이 아닐까 싶은데요. 지역에 어르신들이 어릴 적 자주 들려주던 이야기가 있으신가요? 이처럼 우리가 삶의 터전으로 삼고 살아가고 있는 지역에는 옛날 옛적부터 전해 내려오던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매일 지나다녔던 익숙한 거리, 지명이 나오다보니 귀를 쫑긋 세우면서 들었던 기억이 나는데요. 지역 설화는 ‘전설’의 성격을 지니면서 구체적인 증거물이 이야기에 포함되기 때문에,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이야기에 몰입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울러 유대감과 공감까지 이끌어 낼 수 있지요. 이처럼 지역설화가 가지는 매력은 무궁무진한 것 같은데요. 바로 이러한 지역설화를 바탕으로 기획된 공연들이 꾸준한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우리 지역에는 어떤 이야기들이 전해 내려오고 .. 2015. 9. 11.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