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음악 이용 증감
코로나19 이후 음악 이용 증감을 살펴보면, ‘음악 관련 온라인 동영상 관람’은 증가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오프라인 음악공연 관람’은 감소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여성(57.5%)’, ‘50~59세(56.3%)’에서 ‘오프라인 음악공연 관람’ 감소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여성(38.9%)’과 ‘15~19세(62.2%)’에서는 ‘음악 관련 온라인 동영상 관람’ 증가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음악 감상 빈도 및 시간 감소 이유
코로나19 이후 음악 감상 빈도와 시간이 감소한 경우, 그 이유는 ‘다른 콘텐츠(만화(웹 툰), 유튜브, 드라마, 게임 등)의 이용 시간이 늘어나서’가 28.5%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그 다음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이동 중 음악 감상 시간 및 빈도가 감소하여서’가 27.9%, ‘음악 공연장에 갈 기회가 감소되어서’가 22.1%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른 콘텐츠(만화 (웹툰), 유튜브, 드라마, 게임 등)의 이용 시간이 늘어나서’는 ‘여성(29.8%)’, ‘15~19세 (53.6%)’에서 상대적으로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이동 중 음악 감상 시간 및 빈도가 감소하여서’는 ‘남성(30.9%)’, ‘50~59세(31.3%)’에서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음악 공연장에 갈 기회가 감소되어서’는 ‘여성(24.7%)’, ‘20~24세(28.9%)’에서 응답 비 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음악 감상 빈도 및 시간 증가 이유 코로나19 이후
음악 감상 빈도와 시간이 증가한 경우
그 이유는 ‘실내(집, 사무실)에 있 는 시간이 (이전보다) 많아져서’가 78.2%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실내(집, 사무실)에 있는 시간이 (이전보다) 많아져서’는 ‘여성(79.5%)’, ‘15~19세(92.9%)’에서 상대적으로 응답 비 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심리적 불안으로 인해 음악을 통해서 위안을 찾으려고’는 ‘남성 (9.3%)’, ‘30~39세(11.1%)’에서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글은 한국콘텐츠진흥원 연구보고서[2020 음악 산업백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상상발전소 > 콘텐츠이슈&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들의 새로운 트렌드, ‘스마트 토이’ (0) | 2022.07.21 |
---|---|
코로나 19로 인한 글로벌 애니메이션 시장의 변화 (0) | 2022.07.14 |
나도 모르게 저작권 위반?! (0) | 2022.07.07 |
B급 감성 콘텐츠의 인기, 솔직하고 가볍고 본능적인 즐거움 (1) | 2021.12.01 |
세계 주요국 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미국/중국/일본) (0) | 2021.10.13 |
세계 콘텐츠산업 현황, 시장과 전망 (0) | 2021.09.22 |
유튜브 크리에이터 등, 방송인의 1인 미디어 진출 (0) | 2021.06.23 |
콘서트도 온라인으로 즐기는 시대! 언택트와 새로운 일상 (0) | 2020.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