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미디어의 시대
1인 미디어 시대가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면서 방송인들이 활동 영역을 유튜브 등 1인 미디어로 확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전까지는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영역과 방송인의 활동 영역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1인 미디어에서 주로 활약하는 크리에이터들은 순수한 일반인이거나 여러 경로를 통해서 유명해진 준연예인들이 대부분이었으며,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유명인들은 방송을 비롯한 레거시 미디어에서 주로 활동하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그러나 유튜브 등 1인 미디어의 이용이 증가하고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들이 방송 분야로 진출하고, 반대로 방송에서 활동하는 유명인들이 1인 미디어로 진출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1인 미디어와 방송 간의 경계가 무너지기 시작한 것입니다.
2019년 이전에도 유명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방송 진출은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
샌드박스네크워크의 대표이기도 한 도티가 <문제적 남자: 브레인 유랑단>(tvN)에, 먹방 유튜버 입짧은햇님이<놀라운 토요일-도레미마켓>에, 뷰티크리에이터 이사베가 <언니네 쌀롱>(MBC)에 출연한 것 등이 그 예이다. 반대로 유명 방송인이 유튜브를 비롯한 1인 미디어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한 것은 2019년 전후로 볼 수 있습니다.
방송 등 레거시 미디어를 통해 이미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스타가 1인 미디어에 진출하는 것은 기존 미디어에서는 보여줄 수 없는 진솔한 모습을 보여주거나, 개인의 취미 활동을 대중들과 공유하거나, 대중과 좀 더 가깝게 호흡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습니다. 신세경의 ‘sjkuksee’, 한예슬의 ‘한예슬is’, 백종원의 ‘백종원의 요리비책’, 인교진의 ‘교교TV’ 등이 그 예인데, 요리와 뷰티, 일상 등을 소재로 구독자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유튜브로 진출하는 아이돌
아이돌의 유튜브 진출도 본격화하기 시작했는데, 이들은 글로벌 플랫폼의 장점을 활용하여 전 세계의 팬들과 손쉽게 만날 수 있는 수단으로 1인 미디어를 활용합니다. 아이돌의 채널은 주로 브이로그 형식으로 팬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콘텐츠가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엑소의 백현, 악동 뮤지션의 이수현, 에프엑스의 엠버, 에이핑크의 윤보미 등이 유튜브에서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1인 미디어라고 하면 일반인이 개인적으로 가볍게 일상과 취미 등을 동영상으로 제작해서 공유하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 대표적 1인 미디어인 유튜브를 들여다보면 아마추어 차원이 아니라 전문가에 의해 기획되고 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MCN(Multi Channel Network)이 바로 이러한 일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곳인데, 유명 방송인이 유튜브에 진출하는 경우는 대부분 MCN이나 기획사가 뒤에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수근, 임영웅, 비, 박미선 등은 다이아TV에, 유병재와 김구라는 샌드박스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유튜브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유명 방송인이 스스로의 필요와 욕구에 의해 1인 미디어 채널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MCN이 주도해서 콘텐츠를 기획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있습니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 등 1인 미디어 소재 방송프로그램
1인 미디어 소재를 활용한 방송 프로그램도 눈에 띕니다. 2015년에 편성되어 1인 미디어의 생방송 방식을 대중에게 소개했던 <마이 리틀 텔레비전>(MBC)의 시즌2가 2019년 3월부터 방송되어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1인 크리에이터의 일상을 담은 리얼리티 예능<랜선라이프-크리에이터가 사는 법>(JTBC)과 스타 크리에이터를 소재로 하는 <가로채널>(SBS)도 1인 미디어 소재를 활용한 방송 포맷으로 주목 받았던 사례입니다.
방송사도 1인 미디어 공간에서 적극적으로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수용자와 소통하기 시작했습니다. 자사 콘텐츠를 재가공해서 유튜브로 제공하거나 별도 채널을 개설하는 등 1인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외연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스브스뉴스(SBS), 룰루랄라 스튜디오(JTBC),14F(MBC), 크크티비/깔깔티비(KBS) 등의 채널이 그 사례입니다. 유튜버 순위 서비스인 ‘녹스 인플루언서’에 따르면 2019년 12월 한 달간 누적 조회 수 1위는 tvN의 ‘D ENT’(2억 1,100만 뷰), 2위는 KBS의 ‘World TV’(2억 300만 뷰), 6위는 MBC의 ‘Entertainment’(1억 6,000만 뷰)로 나타나 방송사들이 새로운 플랫폼에서 적극적으로 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밖에 EBS의 ‘자이언트 펭tv’, JTBC의 ‘와썹맨’ 등도 방송 콘텐츠의 1인 미디어 플랫폼으로 진출한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등, 크리에이터의 방송 진출에서 시작하여, 유명 방송인과 스타의 1인 미디어 진출, MCN의 활동 영역 확장, 1인 미디어 소재의 방송 포맷 등장, 방송사의 1인 미디어 플랫폼 진출로 이어지는 일련의 변화는 방송과 1인 미디어가 이제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협력하고 소통하는 플랫폼이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이는 여러 플랫폼들의 관계맺음 속에서 나타나는 방송영상산업의 지형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입니다.
이 글은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방송영상 산업백서'에 게재된 글을 인용하였습니다.
'상상발전소 > 콘텐츠이슈&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B급 감성 콘텐츠의 인기, 솔직하고 가볍고 본능적인 즐거움 (1) | 2021.12.01 |
---|---|
코로나19 이후 음악 이용 변화 (0) | 2021.11.24 |
세계 주요국 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미국/중국/일본) (0) | 2021.10.13 |
세계 콘텐츠산업 현황, 시장과 전망 (0) | 2021.09.22 |
콘서트도 온라인으로 즐기는 시대! 언택트와 새로운 일상 (0) | 2020.06.18 |
한류, 더 큰 가치창출을 위해! 신한류 확산전략과 추진방안 (0) | 2020.06.11 |
국산 게임 '던전앤파이터' 애니메이션화, 중국시장 뚫는다! 위클리 글로벌 4월 4주 (0) | 2020.04.24 |
中 최대 게임 라이브플랫폼 후야, 텐센트 2억6백만 달러 유치 성공… 위클리글로벌 4월4주 (0) | 2020.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