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3일부터 6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열린 ‘MIPCOM 2011’에서 한국 방송 프로그램 수출계약금액이
전년대비 약 45% 증가한 약 1,400만 달러를 돌파하면서 한류 열풍을 재확인해 주었습니다.
MIPCOM은 세계 최대 콘텐츠 마켓으로 올해 전 세계 104개국 4,120개의 회사가 참가했으며,
한국 방송 분야는 KBS미디어, MBC, SBS콘텐츠허브, EBS를 비롯해, CJ E&M, 아리랑TV 등
총 22개 업체가 참가해 해외 콘텐츠와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고 합니다.
올해 MIPCOM에서는 K-POP의 열기를 입증하듯 관련 프로그램의 판매가 두드려졌는데요.
KBS의 <뮤직뱅크>가 대만에 이어 인도네시아에 판매 되었고,
11월 시드니에서 개최 예정인 MBC의 <K-POP in Sydney>공연이 선판매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CJ E&M의 MAMA(M-net Asian Music Awards)가 프랑스,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방영을
추가 확정 하는 등 K-POP의 인기가 방송 프로그램의 판매까지 이어지며
수출액 증가에 일조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콘텐츠 수출에 있어 항상 효자종목으로 꼽히는 드라마 수출은 올해도 역시 활발했다고 하는데요.
특히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제작지원작 SBS콘텐츠허브의 <뿌리 깊은 나무>가 일본에 높은 가격으로 판매 되었다고 합니다.
▲ 한반도의 매머드의 한 장면
드라마 외에 다큐멘터리, 3D 콘텐츠의 행보도 이어졌는데요.
EBS는 이탈리아 국영방송 RAI에 <한반도의 매머드>, <히말라야>, <마리온 이야기>, <인간과 개> 등
다큐멘터리를 총 12만 유로에 판매 하였고 아리랑TV, KBS미디어는 다큐멘터리 <Our planet-Butan>, <아무르>를
프랑스 ARTE에 판매하여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들의 세계적 경쟁력을 입증해주었습니다.
▲ MIPCOM 한국 공동관에 설치한 3D TV존에서 바이어가 3D콘텐츠를 테스트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처음으로 MIPCOM 한국 공동관에 설치된 3D TV존은
각 국의 바이어들에게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고 하는데요.
전 세계적으로 아직까지 3D 콘텐츠가 많지 않은 가운데,
한국의 몇 발 빠른 업체들은 이미 3D 콘텐츠를 다수 보유하여
판매에 박차를 가함으로서 시장에 한 발 앞서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국내 참가업체 중 하나인 3D 전문 배급사 3D 플랜이 새롭게 선보인 ‘3D 컨버젼 서비스(3D Conversion Service)’는 2D 영상을 3D로 변환하는 것으로 여러 건의 3D 컨버젼 주문을 수주하였다고 하네요.
이번 MIPCOM은 한국 콘텐츠 시장이 단순히 드라마의 인기를 넘어서
점점 그 영역이 여러 방면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던 자리였는데요.
미국 마이애미 NATPE 2012(2012/1/23~25) 등의 개최가 예정되어 있어
앞으로 세계적으로 한국 콘텐츠의 위상을 뽐낼 자리가 많이 마련될 것 같습니다.
이에 맞춰 한국 콘텐츠의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을
한국 콘텐츠 진흥원의 노력을 지켜봐 주세요!!
'상상발전소 > 방송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SBS 김용재 PD, 오디션 프로그램을 말하다! (4) | 2011.11.01 |
---|---|
드라마 '뿌리깊은나무'와 '성균관스캔들'의 공통점은?! (3) | 2011.10.31 |
하이킥시리즈3 : 짧은 다리의 역습의 모든 것 !!! (3) | 2011.10.27 |
영화 <블라인드> 최민석 작가가 말하는 기획영화 집필과 시나리오 쓰기 (인터뷰 편) (1) | 2011.10.25 |
"만약,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발칙한 상상력 “2011 과천국제 SF영상축제” (0) | 2011.10.15 |
10월, 이 영화들을 주목하라!! (0) | 2011.10.14 |
남규홍 '짝' PD. 애정촌 해외로 수출합니다! (0) | 2011.10.11 |
드라마 속 화제의 키스신을 찾아라 (2) | 2011.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