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년 음악 콘텐츠 이용 빈도
최근 1년 음악 콘텐츠 이용 빈도는 ‘거의 매일’이 5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일주일에 3~4번(21.0%)’, ‘일주일에 1~2번(14.3%)’ 등의 순이었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89.1%가 일주일에 1번이상 음악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거의 매일’ 이용 비율은 20~24세(75.5%), 15~19세(75.0%) 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평소 음악 감상 관련 생활 패턴
주중 음악 감상 시간대는 ‘오후 6시~오후 8시 이전’이 36.9%로 가장 높으며, 주말 음악 감상 시간대는 ‘오후 1시~오후 6시 이전’이 32.9%로 가장 높았습니다. 주중 음악감상 시간대를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오후 6시~오후 8시 이전’에 음악을 감상하는 비율은 ‘남성(39.3%)’, 연령별로는 ‘15~19세(46.7%)’, ‘20~24세(46.0%)’, ‘25~29세 (45.6%)’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주말 음악 감상 시간대 중 ‘오후 1시~오후 6시 이전’에 음악을 감상하는 비율은 ‘20~24세
(49.4%)’와 ‘15~19세(48.9%)’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Base: 전체, 중복 응답, 단위: %)


음악 감상 시 주 이용 장소
음악 감상시 주 이용 장소는 ‘집’이 5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그 다음으로 ‘교통수단(자동차, 지하철, 버스 등)(34.6%)’, ‘직장(사무실)(7.1%)’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2019년 대비 ‘집’에서 감상하는 비율이 증가하였고, ‘교통수단(자동차, 지하철, 버스 등)’ 에서 감상하는 비율이 감소하였습니다.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여성(56.9%)이 남성(53.0%)보다 ‘집’에서 감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는 10~14세(87.3%)에서 ‘집’에서 감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Base: 전체, 단위: %)

음악 이용 방법
가. 음악 감상 시 이용 수단 또는 서비스
음악감상시 이용 수단 또는 서비스는 ‘음원 스트리밍’이 63.2%로 가장 높으며, 이어서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60.3%)’, ‘텔레비전 음악 프로그램(39.3%)’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년대비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 ‘텔레비전 음악 프로그램’, ‘피지컬 음반’을 통한 음악 감상 비율이 증가하였습니다.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여성(65.3%)이 남성(61.1%)보다 ‘음원 스트리밍’ 이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는 25~29세(80.0%)에서 ‘음원 스트리밍’ 이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이글은 한국콘텐츠진흥원 연구보고서[2020 음악 산업백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상상발전소 > 음악 패션 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산업 환경과 음악산업 법제도 변화와 노력 (0) | 2021.10.20 |
---|---|
음악 콘텐츠 IP 확장 현황 (0) | 2021.07.28 |
유튜브, 네이버TV 등 음악 관련 온라인 동영상 이용 현황 (0) | 2021.07.08 |
한국 대중음악의 글로벌 확장 : 케이팝 해외진출 다각화를 중심으로 (0) | 2021.05.12 |
음악 피지컬 음반 구매 현황 (0) | 2021.04.14 |
지역 음악창작소 어떻게 운영되고 있을까? : 지역 음악창작소 운영 현황 (0) | 2021.03.24 |
문화 향유 측면에서 본 트로트와 트로트 열풍 (0) | 2021.03.10 |
대중음악과 AI 기술 : 플레이리스트로 듣는 음악 (0) | 2021.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