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년 이용 콘텐츠 장르
최근 1년 음악 콘텐츠 이용자들의 콘텐츠 장르별 이용을 살펴본 결과, ‘방송’이 62.2%, ‘영화’가 57.3%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근 1년 콘텐츠 장르별 이용 비중
음악 콘텐츠 이용자들의 최근 1년 콘텐츠 장르별 이용 비중은 음악/공연이 30.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 방송이 22.5%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영화가 12.6%, 게임이 9.2%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근 1년 유료 이용 콘텐츠
음악 콘텐츠 이용자들의 최근 1년 이용 콘텐츠 장르 중 비용을 지불하고(또는 유료로) 가장 많이 구매한 콘텐츠(1+2+3순위)는 음악/공연이 5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영화가 40.9%, 방송이 21.3%, 게임이 17.8%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근 1년 음악 바탕 다른 콘텐츠 이용 경험
최근 1년 음악 바탕 다른 콘텐츠 이용 경험은 20.3%로 나타났다. 음악 바탕 다른 콘텐츠 이용 경험은 15~19세(39.4%)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음악 IP 확장 시 유료 이용 선호 콘텐츠
좋아하는 음악이 다른 콘텐츠로 다시 만들어질 경우 비용을 지불하고 구입할 생각이 있는 비율은 영화가 42.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1+2+3순위 기준). 그 다음으로 방송이 38.6%, 애니메이션 29.2%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글은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음악 산업백서'에 게재된 글을 인용하였습니다.
'상상발전소 > 음악 패션 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결과 (0) | 2022.01.12 |
---|---|
새로운 산업 환경과 음악산업 법제도 변화와 노력 (0) | 2021.10.20 |
유튜브, 네이버TV 등 음악 관련 온라인 동영상 이용 현황 (0) | 2021.07.08 |
한국 대중음악의 글로벌 확장 : 케이팝 해외진출 다각화를 중심으로 (0) | 2021.05.12 |
음악 피지컬 음반 구매 현황 (0) | 2021.04.14 |
지역 음악창작소 어떻게 운영되고 있을까? : 지역 음악창작소 운영 현황 (0) | 2021.03.24 |
문화 향유 측면에서 본 트로트와 트로트 열풍 (0) | 2021.03.10 |
대중음악과 AI 기술 : 플레이리스트로 듣는 음악 (0) | 2021.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