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0년 전의 대백제. 오랜세월 잠들어있던 백제가 그 후손들의 터전인 충청남도 공주시, 부여군 일원에서 부활합니다. <1400년 전 대백제의 부활>을 슬로건으로 내 건 제 57회 백제문화제가 2011년 10월 1일부터 10월 9일까지 9일간 열립니다.
개막식은 공주에서, 폐막식은 부여에서 사이좋게 나누어 열린다고 합니다.
▲ 제57회 백제문화제 포스터.
(포스터를 클릭하시면 공식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축제 개최지 중 한 곳인 부여군. 이 곳의 문화콘텐츠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백제문화 상품화 사업
-문화원형 콘텐츠 개발과 유/무형 콘텐츠 정비
-사비백제문화 고유이미지 구축 사업
-부여문화상품의 차별화를 위한 브랜드 개발
-고유 관광문화상품, 부여도시공공디자인 개발
2.문화산업기반 구축 산업
-문화상품 생산공방 설치
-문화상품 전시판매장 개설(사비 1호점 및 2호점)
그밖에 매장문화재 조사연구, 문화재 내부 문화전시시설 운영도 함께 맡고 있답니다. 백문이 불여일견! 제가 직접 부여에 다녀왔습니다.
(국립부여박물관과 낙화암, 정림사지 박물관)
▲ 박만식 교수가 30여년에 걸쳐 수집, 기증한 '백제시대토기'가 인상적이었던 박만식교수 기증실.
(국립부여박물관)
가장 먼저 찾은 국립부여박물관에서는 크게 고대의 생활/ 백제의 생활문화 / 백제의 불상 / 백제의 토기 등으로 나누어 전시를 열고 있었습니다. 각 전시실마다 유물 모형이나 닥종이 인형, 여러 그림자료를 활용해서 '백제문화'를 알기 쉬운 콘텐츠로 제작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었던 공간이었습니다.
▲ 의자왕 재위 시절, 궁녀들이 나당연합군에 의한 굴욕을 피하기 위해 백마강으로 몸을 던졌던 낙화암.
낙화암은 여행지로서 꽤 유명한 장소이기도 하죠? 치마폭으로 얼굴을 감싸고 몸을 던졌던 궁녀들이 떠오릅니다. 한가지 아쉬웠던 점은, 분명 관광콘텐츠로서 좋은 '스토리'를 녹여낼 수 있는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평범한 관광지의 모습만 보였다는 점입니다. 독특한 이야기를 안고 있는 관광지인만큼 그 점을 적극 활용해서 '이야기 있는' 관광자원으로 활용한다면 참 좋을텐데 말입니다.
▲ 부여 관광 일정 중 가장 흥미로웠던 정림사지 박물관
▲ 박물관 곳곳에 볼거리들이 많다.
▲ 정림사지 박물관 내부 기념품판매처 옆에 위치한 체감형 게임 기기.
주로 양팔을 휘휘 저으면서 단계별로 미션을 수행하는 게임 기기였습니다. 제 친구들과도 직접 해보았는데 생각만큼 쉬운 게임은 아니었습니다. '백제'의 이야기가 녹아있던 단계별 미션! 결국 2단계까지 밖에 성공하지 못했지만, 영상을 한 번 보시죠!
올해 백제문화제에서는 제가 소개해드린 여행지의 콘텐츠들 말고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기실 수 있을겁니다. 백제문화의 발자취 속에서 우리의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방법을 엿볼 수 있는 기회!
10월의 상쾌한 시작을 백제와 함께하는 것은 어떨까요 :D
'상상발전소 > KOCCA 행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은 살아야 한다" - 보수동책방골목에서 문화를 만나다. (0) | 2011.10.01 |
---|---|
남산자락 고풍스러운 '한국의 집'을 가다. (0) | 2011.09.29 |
'2011 부산 유니브엑스포' 그 뜨거운 열기 속으로 떠나보자! (0) | 2011.09.22 |
"콘텐츠공제조합" 설립으로 자금난 숨통 열린다 (0) | 2011.09.15 |
<소설가J>, <봉봉오쇼콜라>의 오성대 작가님을 만나다! (7) | 2011.09.02 |
대기업-중소기업과 손잡고 세계 콘텐츠시장 공략! (0) | 2011.08.29 |
나가사키 다카시 초청 강연 : 일본 콘텐츠 산업의 스토리 전략과 비전 (1) | 2011.08.26 |
콘텐츠창의워크숍 <이끼>윤태호 작가, <내조의여왕>김민식 PD의 소감은? (1) | 2011.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