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니메이션959

이제는 웹툰도 스마트하게 본다! 웹툰 어플리케이션 ▲ 사진1 스마트폰으로 웹툰을 보고 있는 모습 다들 웹툰 즐겨 보시나요? 몇년 전까지만 해도 소수의 사람들만이 웹툰을 챙겨보았지만 대형 포탈사이트의 투자와 몇몇 작품의 영화화 및 연극화, 유명 만화가들의 참여 등으로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콘텐츠가 되었죠. 웹툰은 이제 쇠락의 길을 걷고 있는 출판만화를 대체할 수 있는 한국 만화 콘텐츠의 떠오르는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 웹툰, 이제는 스마트 폰으로 본다 ◀ 사진2 네이버 웹툰용 모바일 이미지 웹툰은 스마트폰 ·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달과 함께 더욱 성장세를 띄었는데요. 대중교통에서, 혹은 화장실에서 짬 날 때마다 틈틈이 한 화씩 보기 좋은 콘텐츠다 보니 독자들이 스마트폰으로도 웹툰을 보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모바일 인터넷만 터진다.. 2013. 7. 15.
웹툰이 유료다! 만화 콘텐츠의 가치UP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 ▲사진1 네이버 웹툰 한 때 전성기를 누렸던 한국의 출판 만화 시장은 IT기술의 발전, 다양한 콘텐츠의 발달, 불법 스캔본의 유포, 대여점의 유행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타격을 받고 점차 사그러들었습니다. 그리고 그 자리를 대신하듯 나타난 게 바로 웹툰이죠. 인터넷 상에 만화가들이 개인적으로 올리던 만화들에서 시작된 웹툰은 이제는 대형 포탈인 네이버, 다음 등에서 관리하는 사업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웹툰 연재 사이트에서 만화가들을 고용해 원고료를 주며 웹툰을 업로드하여 독자들의 포탈 유입을 유도하기 시작한 거죠. 수 년 동안 이러한 방식이 이어져 오면서 암묵적으로 굳어진 사실이 있습니다. 바로 '웹툰은 무료다'라는 점이었는데요. 독자 입장에서야 손해 볼 것 없는 일이지만 이러한 인식 때문에 만화라는 콘텐.. 2013. 7. 15.
애니메이션 음악은 결코 유치하지 않다 ▲ 사진1 애니메이션 음악 앨범 그랜다이저, 마징가Z 등 고전 애니메이션을 비롯하여 지금의 뽀로로, 로보캅폴리까지 다양한 애니메이션을 한 번쯤 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런 애니메이션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또한 한번쯤 흥얼거렸을거라 생각이 됩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애니메이션은 만화영화라는 이름으로 애들이나 보는 유치한것이라고 생각들을 하는 경우가 많죠. 아니라고 생각된다면 바로 친척들이 모인 자리에서 TV에서 하는 애니메이션을 시청하십시오. 어른들이 어떤소리를 하는지...^^ 또 이런 애니메이션 음악 역시 동요 같은 아이들이나 부르는 노래들이라는 편견들을 가지죠. 그런데 재밌는 점은 우리가 유치하게 생각하게 생각하며 만화영화라고 비아냥 거리는 애니메이션이 드라마나 CF, 다큐등에서 배경음악으로.. 2013. 6. 27.
경기안산항공전에 등장한 <두리둥실 뭉게공항> ▲ 사진1 경기안산항공전 정문 지난 달 애니메이션과 지역 축제를 연계한 새로운 방식이 선보였다는 소식이 있어 찾아가 보았습니다. 그 축제는 지난 달 1일에서 5일까지 열린 입니다. 과 의 인연은 작년 행사 때부터 시작되었는데요. ▲ 사진2 2012년 부스 작년에는 단순히 캐릭터 상품을 전시한 부스 하나를 내는 데 그쳤으나 올해부터는 안산항공전의 정식 홍보대사로 함께하게 된 것입니다. 은 작년 4월 KBS 2TV를 통해 첫 방영을 시작한 한국 애니메이션으로서, 작년 칸에서 열린 MIPCOM에서 어린이 심사위원단상(Kids' Jury) 유아용 애니메이션 부문 최우수상, 2012 서울 캐릭터 프로모션 & 피칭에서 최우수상, 그리고 2012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애니메이션 부문 대통령상에 빛나는 작품입니다. 이.. 2013. 6. 12.
요즘 이 만화가 대세? - 다양한 플랫폼의 만화부터 일본만화까지 ▲ 사진1 라바 이미지 만화는 처음 등장한 이래로 한국에서 많은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먼 옛날 만화책방에서 라면과 함께 만화를 즐겼다면, 몇 년 전부터는 만화책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든 영화들이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큰 인기를 끈 만화는 게임이나 영화, 캐릭터 상품으로 제작되는 등 콘텐츠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아이들의 전폭적인 지지로 '뽀통령'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던 뽀로로를 예로 들 수 있죠. 이제는 TV 브라운관을 넘어 각종 플랫폼을 통해 전파됨으로써 만화는 점점 우리의 일상 속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2013년 현재 그야말로 '대세'인 만화는 무엇이 있을 까요? ◎ 레드와 옐로우, 두 애벌레의 상상초월 코믹쇼 2009년부터 현재 시즌2까지 나온 는 2분짜리 한국 3D 애니메이션.. 2013. 5. 28.
국내 애니메이션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변화해 왔을까? ▲ 사진1 국내 애니메이션 (왼), 일본 애니메이션 (오) 역사가 오래된 애니메이션을 보면 시대에 따라 캐릭터의 생김새나 특징 컬러링등이 조금씩 다름을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쉬운 예로는 월트 디즈니의 미키마우스랑 심슨 가족의 심슨 무리들이라 할 수있는데요. 미키마우스의 경우 초창기에는 눈알이 없는 얼굴도 하얗고 쥐의 느낌이 많이 묻어나는 캐릭터였지만 이후에는 눈알도 있으며, 복장이나 외모도 사람과 많이 흡사하게 바뀌었죠. 심슨네 가족의 바트의 경우도 단순하고 날카로운 캐릭에서 점점 둥그스럼한 캐릭의 모습으로 변모를 하며, 색채도 더욱 진하게 됩니다. ▲ 사진2 해외 애니메이션 캐릭터 좌측 상단부터 , , 그렇다면 한국 애니메이션은 어떤 캐릭터 적인 특성을 가지고 변화해 왔을까요? ◎ 1960년대 '동양.. 2013.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