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기자단1161 인디팝 듀오 <일렉스틱>이 말하는 버스킹의 빛과 그늘 화창한 주말, 대학로나 홍대를 걷다 보면 여기저기서 흥겹게 음악을 연주하는 '버스커'들의 '버스킹'을 자주 볼 수 있는데요. 거리는 '누구나 사람들 앞에서 공연'할 수 있는 매력을 지닌 곳이죠. 이러한 매력 덕분에, 많은 음악가들은 자신의 음악을 알리기 위해서 거리로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버스킹의 인기가 나날이 높아지면서, 결국 거리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다는데요. 특히 홍익대 앞의 놀이터나 그 인근에 조성된 '걷고 싶은 거리'에는 공연을 원하는 버스커들이 폭발적으로 몰리면서, 점점 더 좁은 간격을 두고 경쟁적으로 공연이 진행되기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결국 오늘날의 버스킹은 '통행 장애물'로 낙인이 찍혀버렸고, 홍익대 인근의 '걷고 싶은 거리'는 '죽고 싶은 거리'로 공공연하게 조롱당하는 실.. 2015. 9. 3. 런닝맨, 장수 프로그램이 되기까지 일요일 저녁 예능은 프로그램중의 핵심이죠. 일요일 저녁, 지나가는 주말을 아쉬워하며 가족들과 함께 저녁 식사를 하면서 보는 예능은 평일 예능과는 조금 다르게 다가옵니다. 지난 8월 26일 통기타에서는 5년 동안 꾸준히 방영되고 있는 SBS 주말 예능 '런닝맨'의 임형택 PD님이 런닝맨의 스토리를 전해주셨습니다. △ 사진 1. 런닝맨 한 회가 탄생하기까지 런닝맨은 매 주 어떻게 만들어지고 있을까요? 런닝맨은 "누구와 / 어떤 컨셉으로 / 어디서 할까"를 토대로 매주 콘텐츠 미팅 - 방송 제작 - 피드백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집니다. 제일 중요한 건 '어떤 컨셉으로' 할 것이냐입니다. 컨셉이 정해진다면 그 컨셉에 따른 장소, 즉 '어디서'가 절로 따라오게 되고 게스트도 어떤 게스트를 섭외할지가 쉬워진다는 것이.. 2015. 9. 2. 지성미 넘치는 남자들의 예능 <문제적 남자>와 <젠틀맨리그> 당신의 이상형은 무엇인가요? 이상형으로 ‘뇌섹남(뇌가 섹시한 남자)’을 꼽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지성을 강조한 예능이 늘어나는 방송 추세에 영향을 주기도, 받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뇌섹남들이 이끌어 가는 두 예능, 와 를 통해 그 흐름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는 일종의 퀴즈 프로그램입니다. 여섯 명의 고정 출연자들과 객원 출연자에게는 매회 다른 퀴즈가 주어지고, 그들은 앞다투어 그것을 풀게 되는데요. 이때 이 퀴즈들은 단순한 상식을 묻는 문제가 아닌, 저마다의 확실한 논리가 필요한 문제들입니다. 그 논리와 규칙을 찾아내기 위해 머리를 굴리는 여섯 사람에게서 이 프로그램의 매력은 생겨납니다. ▲ 사진 1 의 여섯 출연자 퀴즈 프로그램의 장점은 궁금증을 유발하여 시청자를 계속해서 잡아둘 수 있다.. 2015. 9. 1. 부유하는 시청자, 계속되는 장르 실험 이질적인 것들의 결합과 교배를 통한‘ 혼종’의 탄생은 포스트모더니즘을 대표하는 현상입니다. 텔레비전 콘텐츠에서의 장르 파괴와 융합 역시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변화에 가장 둔감하고 몸집이 무거웠던 지상파 방송마저 장르 간의 크로스오버 등 실험을 거듭하는 데에는 변화하지 않으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없다는 절박함이 묻어 있습니다. 기존 관습을 깨는‘ 코드파괴 (code-breaking)’는 새로운 것에 대한 시청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까요? 2015. 9. 1. 세계의 웹드라마가 모인다 - K-WebFest 웹드라마 영화제 설명모바일 시대가 되어버린 2015년의 핫 트랜드 웹드라마. 세계의 웹드라마가 모이는 영화제 kwebfest가 2015년 7월 30일, 31일 이틀간 개최되었습니다. 5분에서 30분 사이의 짧은 영상이 펼치는 마법이 모이는 곳. kwebfest를 소개합니다. ⓒ 영상 제작: 한국콘텐츠진흥원 블로그 기자단 6기 최문석 기자 2015. 8. 31. 상상발전소 6기 블로그기자단 워크숍 현장! 상상발전소를 책임지고 있는 블로그 기자단 멤버들이 8월 20일, 21일에 한국콘텐츠진흥원 본사로 워크숍을 다녀왔습니다. 나주 혁신도시로 이전한 신사옥에서 능력을 업그레이드 시켜줄 유용한 교육도 받고, 서초 친해지고 새로운 영감도 얻도록 인근 지역으로 문화체험도 갔답니다. 그 현장을 담아온 영상, 함께 보시죠! ⓒ영상 제작: 한국콘텐츠진흥원 블로그 기자단 6기 장소미 기자 2015. 8. 31.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