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 contents186

남녀노소 함께 웃고 즐기는 애니메이션, 라바 귀여운 캐릭터와 재밌는 내용 구성으로 많은 사랑을 받으며 한국 콘텐츠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자리매김한 ‘라바’는 대한민국 대표 애니메이션으로 성장했습니다. 인기리에 방영 중인 애니메이션 ‘라바’를 제작하는 '투바앤'의 전준수 본부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인기 애니메이션이 문화산업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Q. ‘투바앤’에 대한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A. 주식회사 ‘투바앤‘은 애니메이션 제작 및 캐릭터 비즈니스 기업으로서 다수의 해외공동제작과 수상경력을 통해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한 기획 노하우와 제작 퀄리티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비키와 조니', '오스카의 오아시스', '라바', '윙클베어' 등의 캐릭터는 국내를 넘어 세계시장과 함께하는 캐릭터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 사.. 2014. 12. 26.
장면 하나하나를 살려주는 영화 속 특수효과! 2009년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영화 의 인기를 시작으로 4D, 3D, IMAX 영화를 자주 찾아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최근 화제가 되었던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도 IMAX 영화로서 개봉 첫 주에 IMAX 상영관이 모두 매진될 정도의 인기를 얻었는데요. 이렇게 영화산업이 발전하면서 영상기술도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영화들은 여러 가상현실을 조금 더 생생하게 표현하며 관객에게 현실처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대의 디지털영화가 아닌 과거의 아날로그 형식의 영화 상영방식은 어땠을까요? 영화의 과거, 그리고 현재를 지금 만나보겠습니다. 영화가 만들어지기 전, 대중은 우리가 위대한 발명가로 알고 있는 에디슨의 발명품인 ‘키네토스코프’로 1초에 46프레임이 넘어가는 총 15초의 영상물.. 2014. 12. 19.
여섯 뮤지션의 빛나는 축제! 2014 K-루키즈 파이널 콘서트 지난 13일 악스홀에서는 K-루키즈 파이널 콘서트가 진행되었습니다. 7월부터 2팀씩 만나던 K-루키즈를 한자리에서 모두 만나볼 수 있는 기회였는데요. 6팀 가운데 대상의 영예는 과연 누가 차지했을지, 영상으로 확인해 보실까요? ⓒ 영상 제작: 한국콘텐츠진흥원 블로그 기자단 5기 노경석 기자 2014. 12. 18.
콘텐츠 산업을 빛낸 올해의 얼굴들 - 2014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지난 9일 코엑스에서 '2014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한 해 동안 국민들에게 감동과 기쁨을 선사한 우수 콘텐츠들이 수상의 영광을 차지했습니다. 복고 열풍을 일으킨 드라마 '응답하라 1994'부터 랩핑 버스로 어린이들에게 다가간 '꼬마 버스 타요'까지수상작들을 만나 보겠습니다. ⓒ 영상 제작: 한국콘텐츠진흥원 블로그 기자단 5기 노경석 기자 2014. 12. 16.
스마트미디어 환경과 스포츠콘텐츠 김원제 (유플러스연구소 소장, 성균관대 겸임교수)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진화에 따라 스포츠는 상품가치가 높은 콘텐츠로 급부상하고 있다. 올림픽, 월드컵 등 다양한 스포츠대회가 방송과 인터넷, 그리고 IPTV와 같은 신규미디어를 통해 중계되면서 킬러콘텐츠로서 범주를 확대하고 있다. 스포츠가 콘텐츠 상품적 가치를 구현해내는 독특한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이에 ‘스포츠콘텐츠’라는 개념이 강화되면서 새로운 콘텐츠시장을 형성해가고 있다. 라디오와 TV의 초기 도입에서 방송시장을 형성시킨 요인이 스포츠 프로그램이었던 것처럼, 이제 스포츠콘텐츠는 다양한 미디어의 시장 확대와 콘텐츠 비즈니스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미디어 환경에서 스포츠는 최적의 콘텐츠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스포츠의 사회.. 2014. 12. 16.
콘텐츠 속 나의 아버지 그리고 우리의 아버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대화 시간을 조사한 통계를 살펴보면, 아버지와의 대화 시간이 어머니보다 현저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아버지와 보낸 시간이 적어서 어색하다.', '아버지와는 말이 통하지 않는다.' 등의 이유로 대화를 기피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요. 이것은 비단 특정 세대에 국한된 것만은 아닙니다. 아버지와 자녀 세대의 갈등, 소통의 부재는 시대마다 반복됐고, 이것은 개인의 문제에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아버지'라는 코드는 콘텐츠 속에 어떻게 그려졌을까요?국내 콘텐츠에서 '아버지'의 모습을 찾아보았습니다. 데프콘 - 데프콘의 는 아버지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했던 어린 시절을 후회하며 아버지의 사랑을 절절하게 노래합니다. ‘자식이 먹다 남은 것들로 밥을 싸고 뭐 필.. 2014.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