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상발전소기자단436

우리, 소통해볼까요? 요즘 일명 ‘소통의 부재’라는 단어를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소통의 부재'. 한 마디로 말하자면 소통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커뮤니케이션학에서는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커뮤니케이션, 즉 소통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모순과도 같은 말이라고 합니다. 사람은 혼자 있을 때도 자신과의 소통을 하고 있으며, TV를 보거나 강연을 들을 때도 소통은 계속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소통의 부재'란 어떤 의미이며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그 이유를 찾기 전에 먼저 '소통의 부재'를 다룬 우리나라 콘텐츠를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은 무엇을 생각할 때 가슴이 '두근두근' 거리시나요? 저는 흠모하는 사람을 생각할 때와 뮤지컬과 같은 공연예술을 관람하는 순간에 가슴의 두근거림을 경험하곤 .. 2014. 9. 18.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사무소 인터뷰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사무소'는 한국 문화 소개의 장으로서, 한중문화교류의 핵심 거점인 '주중한국문화원' 4층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북경사무소'는 한국 콘텐츠 기업의 중국 진출의 창구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네 명의 직원으로 구성되어 더욱 화기애애하고 가족 같은 분위기 속에서 중국 현지의 한국 콘텐츠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먼저 중국 내 한국 콘텐츠 진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문화원'의 모습을 간단히 살펴보고,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사무소'의 인터뷰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사진1 주중한국문화원 외관 '주중한국문화원'의 건물 로비는 사람들이 쉽게 들어와서 카페처럼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실제로 작은 카페를 운영 중이기도 합니다. 도심에 위치하고 있어서.. 2014. 9. 17.
'리메이크'로 색다르게 만나보는 우리나라 작품 우리나라의 영화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영화 콘텐츠와 산업 전반에도 많은 변화의 흐름이 생성되었습니다. 그중 우리나라 대중뿐만이 아닌 해외 대중, 해외 제작사들도 한국의 특색 있는 작품에 대해 주목하게 된 것이 큰 특징 중 하나입니다. 그들은 우리나라 고유의 정서가 담긴 작품 또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하고 신선한 작품에 집중하며 많은 관심을 보내오고 있습니다. 한국 작품에 대한 해외의 관심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해외 제작사들이 우리나라 작품의 판권을 구매하여 각 현지에서 '리메이크' 작품을 제작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양한 한국 작품들이 리메이크되는 가운데, 한국적인 정서를 담은 우리나라 영화가 해외에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사진1 영화 한국 영화 는 이정재, 전.. 2014. 9. 16.
콘텐츠 인사이트 콘텐츠 분야의 전문가들과 성공의 노하우를 공유하는 시간, 마케팅을 주제로 콘텐츠 인사이트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 ) 약 150여 명의 참가자들과 함께 진행된 생생한 세미나를 지금 바로 확인해보시죠! ⓒ 영상 제작: 한국콘텐츠진흥원 블로그 기자단 5기 금윤지 기자 2014. 9. 15.
제17회 부천국제만화축제 한국콘텐츠진흥원은 만화 생태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난 8월 개최된 부천국제만화축제도 한국콘텐츠진흥원이 후원사로 참여했는데요! 상상발전소 기자가 다녀온 현장 확인하세요XD ⓒ 영상 제작: 한국콘텐츠진흥원 블로그 기자단 5기 최정우 기자 2014. 9. 15.
각국의 드라마가 한자리에 모였다! '2014 서울드라마어워즈' 지난 4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제9회 서울드라마어워즈 2014' 가 개최되었습니다. '서울드라마어워즈'는 KBS, MBC, SBS, EBS 방송 4사가 합심하여 여러 나라의 작품을 알리고, 한국의 작품 또한 세계에 알리자는 취지로 2006년에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서울드라마어워즈'는 서울드라마어워즈 조직위원회와 한국방송협회에서 주최하고 있으며, 방송 4사와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후원하고 있습니다. ◎ 의 시상식 현장! ▲ 사진1 공식포스터 레드카펫 행사가 끝난 후, 본격적인 시상식이 시작되었는데요. 이날 MC는 ‘별에서 온 그대’로 인기를 얻은 배우 신성록과 ‘닥터 이방인’의 주인공 배우 진세연이 맡았습니다. 시상식의 전체 프로그램은 1부와 2부로 나누어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이번 '제9회 서울.. 2014.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