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상발전소/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스토리384

전국 방방 곳곳 애니메이션 산업이 꽃 핀다!!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산업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산업이 문화적 장벽이 낮아 세계시장 진출에 적합한 고부가가치, 다매체시대의 중심 산업이며 내년 예산을 올해보다 82.2% 증액하여 산업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일자리 창출, 글로벌 공동 제작 및 외국 진출 지원 등이 기대되는데요. 애니메이션은 우리나라의 콘텐츠를 세계에 알리는 데에도 쉽지만, 수도권 외 지역에서도 경쟁력 있게 성장 가능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일조할 수 있는 착한 산업이라는 점, 알고 계시나요? 특히 CGI 애니메이션의 수요가 늘면서 도구나 재료가 간소화되고, 모든 자료가 디지털화되어 전달되어 사람의 아이디어와 기술, 컴퓨터만 있으면 지역에 상관없이 어디서든 고품질의 콘텐츠.. 2011. 11. 8.
만화, 만(漫: Story)과 화(畵: Paintings) : 스토리산업으로서의 만화의 가능성 11월 4일 ~ 6일, 루미나리에 갤러리에서는 2011 만화원작원화프로모션 '만화, 만(漫: Story)과 화(畵: Paintings)'가 개최되었습니다. 만화원화전시회와 만화원작 쇼케이스(토론회와 리셉션)가 열렸던 11월 4일. 본격적인 토론에 앞서, '스토리산업으로서의 만화의 가능성'이라는 주제로 김세훈 교수님과 문화평론가 김봉석님의 발제가 있었습니다. 쇼케이스에는 많은 작가 분들, 관계자분들이 함께 해주셨습니다. 쇼케이스의 사회는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한창완 교수님께서 맡으셨습니다. 한창완 교수님의 유쾌한 진행으로, 쇼케이스의 분위기는 한층 더 부드러워졌지요. 만화, 이제는 스토리 콘텐츠이다. 먼저, 세종대학교 애니메이션 학과 김세훈 교수님께서 '만화, 이제는 스토리 콘텐츠이다'라는 주제로 .. 2011. 11. 7.
전 세계 학생들이 만든 애니메이션이 한 자리에, 제 13회 부천 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을 알아보자! 전 세계 학생들이 만든 참신한 애니메이션과 만날 수 있는 기회, 아시아를 대표하는 애니메이션영화제로 도약하고 있는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PISAF)이 올해 13회를 맞이했습니다. 부천 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은 11월 4일(금)부터 11월 8일(화) 한국만화박물관(한국만화영상진흥원)에서 개최되며 약 30여국 200여 편의 학생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만나보실 수 있는데요. 주요행사로 애니메이션영화제, 애니페어, 교육 컨벤션, 전시 및 부스행사가 진행되는데 제 13회 PISAF에선 어떤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어떠한 특별함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애니메이션영화제 한국만화박물관 2개의 공식상영관과 2개의 오픈극장에서 개막식/폐막식작품, 학생경쟁부분, PISAF초청작, 마스터클래스 등 다양한 작품을 감상.. 2011. 11. 3.
한류! 이번엔 한국 애니메이션이다!!!!! 드라마, 영화, K-POP,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 분야에서 한류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데요. 이러한 한류 바람에 이미 전 세계 어린이들의 대통령이라 불리는 뽀로로 등 최근 한국 애니메이션들이 큰 힘을 불어넣어 주고 있습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오는 11월 1일부터 3일까지, 한국 애니메이션의 활발한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 애니메이션 쇼케이스 (Korean Animation Showcase)’와 ‘극장용 애니메이션 상영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는 8일까지 개최되는 아메리칸 필름마켓(AFM) 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모니카의 메리고트 호텔(Le Merigot Hotel)에서 진행됩니다. 아메리칸 필름마켓은 칸 국제영화제 필름마켓(Marche du Film), 밀라노.. 2011. 11. 1.
만화와 애니메이션으로 브랜드 이미지 업~! 스누피가 보험 회사의 상징 마스코트라는 것 알고 계시나요? 보험과스누피? 과연 어울릴까요? 놀랍게도 최고의 시너지 효과를톡톡히 누린듯합니다. 세계 최대 생명보험회사 메트라이프는 1980년대부터스누피를 상징 마스코트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전 연령에 사랑받는 스누피를 통해 기존 보험회사의 딱딱한이미지에서 벗어나 친근하고 따뜻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 오고 있다고 합니다. *매트라이프 공식 홈페이지 우리나라에서는 만화나 애니메이션이 아이들이나 보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았는데요… 이런 이미지를 불식시키기라도 하듯, 기업 브랜드 홍보 이미지로, 이벤트 이미지로 기업과 만화, 애니메이션들이 만나기 시작했습니다. 어떤 사례가 있는지 함께 살펴보시겠어요? ::현대자동차, 멋진 변신자동차에 안전 교육까지!:: 대표.. 2011. 10. 18.
[애니메이션과 만화의 역사 시리즈] 한국 만화의 역사(1960~1990년대) (왼쪽 위부터) 길창덕-꺼벙이 / 이상무-독고탁 / 고우영-대야망, 임꺽정, 삼국지 / 허영만-각시탈 / 고유성-로보트 킹 / 김삼 - 소년007 / 박수동 - 고인돌 여러분은 신동우 화백의을 들어보셨나요? 이 이 만화 연재에 이어 애니메이션으로도 성공을 하면서 한국 만화 산업은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에 이르는 전환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때마침,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인 육영수 여사가 서울 남산에 어린이 회관건립하는 등 어린이들의 문화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시도되되면서 이 시기에 다양한 작가 중심의 개성적인 만화들이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또한, 어깨동무, 소년중앙, 새소년, 만화왕국, 학생중앙 등의 다양한 어린이 잡지들이 출간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어린시절 추억의 만화를 기억하시는 분들은 모두.. 2011.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