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과 모바일 콘텐츠의 세계
- 작고 빨라지는 손안의 문화 콘텐츠 '스낵컬쳐' -
[한입 사이즈] 포맷 : 스낵컬처
- 스낵컬처는 2007년 잡지 와이어드(Wired)가 문화콘텐츠 시장에서 [한입사이즈] 포맷이 본격화할 거라고 예견하며 내놓은 단어입니다.
- 그로부터 10년이 지났고, 그것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모바일 문화콘텐츠의 특성 4가지
- 최근 이슈로 떠오르는 모바일콘텐츠의 특성을 파헤쳐 본 결과, 총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1. 짧은 길이의 콘텐츠
- 이동성의 측면에서 볼 때, 이동 중에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어야 하므로 콘텐츠 길이가 짧아야 경쟁력이 생깁니다.
- 사례로는 웹툰, 웹드라마, 하이라이트 클립영상 등이 있습니다.
2. '개인'의 중요성
- 스마트폰은 개인 소유의 매체이기 때문에, 개인을 위한 콘텐츠이면서 개인과 개인을 연결하는 소셜 기능의 콘텐츠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 사례로는 트위터,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라인 등이 있습니다.
3. 쌍방향적 요소
- 친구들과 의견을 공유하거나 추가 정보를 검색하는 등, 스마트폰 콘텐츠에 쌍방향적 요소가 가미되어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습니다.
- 사례로는 채팅방 내의 링크 및 검색 기능, SNS 해쉬태그 기능 등이 있습니다.
4. 캐주얼한 콘텐츠
- 모바일 콘텐츠는 화면이 작은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되기 때문에, 섬세한 콘텐츠보다는 캐주얼한 콘텐츠가 선호됩니다.
웹&모바일 콘텐츠의 밝은 미래
- 이러한 웹&모바일 콘텐츠산업은 매년 20%이상 성장하는 추세며, 세계시장에서도 충분히 경쟁력 있는 분야입니다.
웹&모바일 콘텐츠, 활로를 제공하다
- 많이 우려되었던 과금체계 또한 정립되고 있기 때문에, 침체에 빠진 콘텐츠 시장에 앞으로 큰 활로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본 게시물은 한국 콘텐츠 진흥원 공식 홈페이지 <케이콘텐츠 2017 3,4월 호>을 참고 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goo.gl/ukTgc0 링크를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상상발전소 > 콘텐츠이슈&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능+교양 '쇼양' 프로그램 열풍! (0) | 2017.03.31 |
---|---|
선을 끊고 자유롭게, 콘텐츠 산업 -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는 웹&모바일 콘텐츠 관련 통계 (0) | 2017.03.29 |
2017년 콘텐츠산업 10대 트렌드 –4탄- 콘텐츠에 MSG (Making Sense of Gender)를 쳐라 (0) | 2017.03.24 |
괄목상대, 웹 콘텐츠의 눈부신 변신! (0) | 2017.03.20 |
2017 콘텐츠산업 10대 트렌드 - 제 3탄 - 라이브의 귀환 : 모바일 생방송 콘텐츠 확대 (0) | 2017.03.15 |
2017 콘텐츠산업 10대 트렌드 제 2탄 - 상실의 시대, 판타지 멜로와 정치물에서 위안 받다 (0) | 2017.03.10 |
2017 콘텐츠산업 10대 트렌드 제 1탄 - 1인 가구와 비상하는 하비피플 (hobby people) (0) | 2017.03.08 |
케이콘텐츠 11, 12월호 money + content 「두드려라, 그러면 열릴 것이니」- 크라우드펀딩? (0) | 2017.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