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959 북미·중남미 방송시장 본격 열리나 북미·중남미 방송시장 본격 열리나 ◆ 한국 업체들, NATPE 2015서 158만 달러 수출…전년 대비 41% 증가◆ JTBC 포맷 판매, 투바앤 방송계약 체결 등 성과◆ 한콘진, 한국공동관 운영·K콘텐츠 스크리닝 등 통해 판로 확보 지원 □ 한국 방송영상 기업들이 세계 최대 방송콘텐츠 마켓 가운데 하나로 북미와 중남미 바이어들이 주로 참석하는 ‘NATPE Miami 2015’에서 158만 달러의 수출계약을 달성해 향후 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KBS미디어, MBC, SBS, CJ E&M, JTBC, 투바앤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12개 방송․애니메이션 업체들은 지난 1월 20∼22일 개최된 ‘NATPE Miami 2015’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와 한국콘텐츠.. 2015. 2. 23. 상상발전소 블로그 기자단 6기 합격자 발표 [상상발전소 블로그 기자단 6기 합격자 발표] 콘텐츠 강국으로 나아가는 대한민국의 생생한 이야기를 재미있게 전달할 '상상발전소 블로그 기자단 6기' 모집에 지원해 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o^* 부문별 합격자는 아래와 같습니다.2015년 더욱 즐거운 콘텐츠 기사로 여러분과 함께 할게요~~(* ctrl + F를 클릭한 뒤, 이름을 수월하게 찾으세요) [국문]이재환(4581)허서원(4419)최수진(2063)최재원(0136)이혜은(0536)황채린(0736)조윤지(2129)이혜진(0531)최한별(3209)한초아(1716)윤지민(3110)임지연(957)박성훈(6606)강규원(8309)김효진(3989)고혜리(0489)이승현(8580)김양지(5582)박진주(7752)심다희(3483) [영문]이소영(.. 2015. 2. 17. 한국, 미국, 일본!- 나라별 애니메이션에 대해 알아보자 지난 겨울을 강타한 , 2001년 개봉하여 올해 재개봉하는 , 문학작품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든 3개의 작품은 각 나라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있는 애니메이션입니다. 애니메이션은 미국 애니메이션과 일본 애니메이션 그리고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는 한국의 애니메이션이 있습니다. 각 문화권이 다른 만큼 작품 속에서도 조금씩 다른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미국, 일본, 한국의 애니메이션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어떤 점이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계최초 애니메이션인 는 미국에서 탄생하였습니다. 무성영화로 시작된 애니메이션은 월트 디즈니 를 제작하면서 유성영화로 변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미국의 월트 디즈니는 애니메이션의 여러 부분에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요. 특히 생동감 넘치는 동물 캐릭터의 움직임을 나타낸 여.. 2015. 2. 13. 일본 문화 중심지에서 한국을 외치다-동경 코리아센터 및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 사무소 탐방기 일본의 수도 동경에 있는 코리아센터는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 사무소를 비롯한 여러 한류 콘텐츠를 만나볼 기회의 장으로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동경은 정치, 경제, 교육, 금융의 중심지로 일본의 문화 중심지이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 사무소는 이러한 지역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는데요. 모든 콘텐츠의 일본 진출 지원뿐만 아니라, 이에 관계된 다양한 비즈니스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한일 양국의 콘텐츠 비즈니스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일본 사무소가 위치한 코리아센터에 대해 알아볼까요? ▲ 사진1 일본 동경에 위치한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 사무소 코리아센터는 8층 건물로, 층마다 새로운 볼거리 및 체험 거리를 만날 수 있습니다. 먼저 1층에서는 전시회 및 기획전이.. 2015. 2. 13. 제3차 음악산업 포럼에 귀하를 초대합니다 제3차 음악산업 포럼에 귀하를 초대합니다 ▪ 인사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한국 음악산업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방향 제시 및 정책 제안을 위해 이라는 이야기 장(場)을 마련했습니다. 지역 음악산업 생태계(1차 포럼), 한국 대중음악의 창작 기반(2차 포럼)에 이어 이번 제3차 포럼에서는 한국 음악산업의 글로벌 진출 사례와 전략을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내수시장이 제한적인 한국 음악산업의 현실을 고려할 때, 음악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해외 진출 활성화와 수출 증가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최근 불거진 반한류나 음악 장르 편중 등이 한국 음악 콘텐츠의 글로벌 시장 확대에 걸림돌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 진출 사례를 분석하고.. 2015. 2. 13. 그대, 동인으로서 이곳으로 오라! 동인 행사의 요모조모 혹시 ‘동인’이라는 단어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동인'은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쓰이고 있는 단어이지만 ‘서브컬처에 관련된 활동을 하는 사람들’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근래 이 동인들의 활동 영역이 점점 넓어짐에 따라 동인 행사 등이 언론에 오르내리며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이번 기사를 통해 동인과 동인 시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래 동인의 사전적인 의미는 ‘뜻이나 취미를 같이하는 사람‘입니다. 여러 사람이 모임을 이루고 개개인의 작품 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재능을 발산하고 즐거움을 나누는 활동을 일컫는 말로 오래전부터 쓰여 오던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인은 본디 문학 계열의 활동을 의미하는 말이었는데요, 이후 점차 다른 예술 계열의 활동까지 포괄하는 뜻으로 확장되었고 특히 오늘날 서브컬처 .. 2015. 2. 12.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