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니메이션959

해외 명작게임은 모두 한국인의 손으로 만들어진다. ▲ Jung Park이 그린 컨셉아트 해외의 유명게임들이 한국인의 손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 아시나요? 한국인 개발자들은 이미 여러 유명 게임회사에서 핵심인력으로 활동 중인데요, 제가 직접 만난 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게임개발자들을 여러분께 소개드립니다. 소니 PlayStation의 대표작인 는 한국인 컨셉 아티스트가 대거 참여하고 있습니다. 컨셉 아트팀의 리더도 한국인인데요, 정 박(Jung Park)이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가 그린 그림을 바탕으로 게임이 만들어진다니 신기하네요. ▲ Peter Lee가 그린 컨셉아트 세계적으로 유명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도 한국인 개발자가 많이 진출해 있습니다. 피터 리(Peter Lee)도 컨셉 아티스트인데 블리자드에서 매우 인정받고 있습니다. 블리자드.. 2011. 11. 9.
미국 애니메이션 시장을 통해 본 한국애니메이션의 나아갈 길 여러분,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를 아시나요? 뽀로로는 애니메이션의 성공을 기반으로 어린이 도서로 출판되거나 캐릭터를 활용한 문구 및 완구상품으로 제작되어 출판, 캐릭터 시장과 연계되었으며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창구수익을 창출하고 있죠. 이처럼 대중의 사랑을 받는 애니메이션은 스토리와 이미지를 활용한 게임, 어린이뮤지컬, 테마파크 등 부가사업의 확장성 크다는 특징있는데요, 때문에 국내 애니메이션의 발전을 위한 수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약 1,590억 달러로 추정되는 세계 애니메이션 관련 콘텐츠 시장의 대부분은 미국과 일본이 점유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죠. (세계시장의 60%) 우리 한국은 아직 약0.2%정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니 더욱 분발해야겠죠? ^^ 좋게 생각해.. 2011. 11. 9.
블리자드 핵심 개발자들은 한국을 어떻게 생각할까?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주최하는 게임 축제 "블리즈컨2011"에 다녀왔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3가지의 e스포츠 대회가 개최되었는데 놀랍게도 한국 선수들이 3종목의 챔피언을 모두 석권하였습니다. 그런데 해외 게이머와 언론들은 이를 당연하게 생각하더군요. 한국 e스포츠 선수들의 해외 인지도가 상당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는 순간이었습니다. 이들은 해외에서 한류스타로 대접받고 있었는데, 그 인기가 소녀시대나 동방신기 못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블리즈컨2011에 참관하면서 과연 블리자드의 개발자들은 한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더군요. 그래서 "당신에게 한국은 어떤 의미입니까?"라는 프로젝트를 준비해갔습니다. 먼저 만난 사람은 블리자드에서 개발총괄부사장을 역임하고 있는 크리스 멧젠. 블리자드의 모든 게임개발.. 2011. 11. 8.
[스마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아직도 문자만 쓰니? 요즘 스마트폰을 쓰시는 분들은 '카톡'이라는 용어는 매우 친숙하시겠죠? '카톡'은 '카카오톡'의 줄임말로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무료문자메시지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스마트폰을 구입한 후에 가장 먼저 다운받는 어플들이 아마 메세징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생각됩니다. 앱스토어의 무료 인기 소셜 네트워킹 APP을 들어가보면 여러가지 메신저들이 있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피처폰(Feature phone : 일반휴대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을 꼽자면 전화와 문자일텐데요. 스마트폰이 있으면 전화와 문자를 '카톡'이나 '마이피플' 등의 APP을 통해 무료로 사용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스마트 메시징 앱에 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이러한 어플들은 사용료가 무료이고 데이터를 사용한.. 2011. 11. 8.
해외 게임축제와 게임쇼에서 한국의 게임쇼가 배워야 할 것들 1. 게이머를 위한 개막식 우리나라의 행사에 가면 해당 행사와 관계없는 정치인들의 인사말이 너무나 길어서 진부함을 줍니다. 게임쇼에서 우리가 진정 원하는 것은 뜨거운 뉴스입니다. 어떤 새소식이 나올까 촉각을 곤두세웁니다. E3, 동경게임쇼, 게임스컴이 3대 게임쇼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은 뜨거운 뉴스를 개막식에서부터 쏟아내기 때문입니다. 블리자드의 게임축제 개막식에서는 한정판과 의 4번째 확장팩을 최초로 공개하여 이슈가 되었습니다. 우리의 게임쇼 개막식도 온라인 게임회사의 CEO가 멋지게 등장하여 신규 게임을 발표하고 대작게임의 새로운 정보를 들을 수 있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얼굴도 모르는 정치인의 인사말은 제발 이제 그만보고 싶어요. 2. 갖고 싶은 한정판 상품 판매 게이머는 그 게임의 팬으로 .. 2011. 11. 8.
한류열풍과 문화산업, 문화정책 특강을 가다! 한류열풍과 문화산업, 문화정책 특강을 가다! 현재 K-Pop을 비롯한 여러 한국의 콘텐츠들이 세계에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얼마전에는 '뉴욕코리아페스티벌'이 미국에서 열렸으며, 우리나라의 대중문화를 해외로 수출하는 이벤트들이 세계 곳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들, [즉 우리나라의 대중문화 콘텐츠를 해외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현상을 우리는 한류라고 부릅니다.] 10월의 한 어느날 ,가톨릭대학교에서 '한류열풍과 문화산업, 문화정책'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채지영 책임연구원이 강의하는 특강이 열렸습니다. 한류를 중점적으로 연구를 하는 기관중의 하나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책임연구원인 만큼 양질의 강의를 해주셨는데요. 어디 한번 그 내용을 알아볼까요? 이번 특강은 '한류란 무엇인가,.. 2011.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