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상발전소/공지사항

한콘진, ‘무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음악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발간

by KOCCA 2015. 8. 25.

한콘진, ‘무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음악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발간

                 

◆ ▲‘음악=무료’ 인식 확산 ▲저작권 개념 희석 ▲음악 생태계 악순환 우려 

◆ 적극적 관리·감독, 수익배분 방식 개선, 롱테일 육성정책 등 해결책 제시


□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원장 송성각)이 국내 디지털 음악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우려점과 해결책을 제시한 ‘무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음악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 보고서는 모바일 기기와 결합해 서비스되고 있는 무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소비자에게 음악은 무료라는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저작권의 침해 여부가 모호해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 보고서는 또 소비자는 비용절감의 혜택을 받는 반면, 음원 공급자는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는 악순환을 초래해 결국 음악 생태계에 혼란을 불러 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 보고서에 따르면,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도 사용자가 600만 명에 이르고 있으나 월정액 위주여서 성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서비스가 통신사와 연계해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 신규 사업자들의 진입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 보고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책으로 ▲법규에 의거한 관할 부서의 적극적인 관리·감독 ▲스트리밍 시장에서의 음원 수익 배분 방식의 개선 ▲음악 저작자, 연주자, 판매자에 대한 롱 테일(long-tail) 육성정책을 제시했다.

□ 이번 보고서는 무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영향 이외에도 국내외 음악시장 동향, 주요 음악서비스 플랫폼 분석, 전문가 인식조사 등을 담고 있다.

□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디지털 음악시장은 2013년 기준 1조 590억 원으로 전체 음악시장 규모인 4조 2,772억 원의 2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9.7%(2011~2013년)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 ‘무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음악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보고서는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www.kocca.kr) ‘콘텐츠지식→연구보고서→보고서’ 메뉴에서 무료로 내려 받을 수 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콘텐츠진흥원 미래정책개발팀 권호영부장(061.900.631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